Interface 형태에 따른 장단점
초기 MBL Interface는 여러 개의 채널(Multi-channel)을 갖고, 채널별로 기능이 정해졌으면, 인터페이스의 회로가 복잡하여, 비싼 시기였습니다.이런 복잡한 회로는 통신 방식(대부분이 RS232를 사용함)때문입니다.1990년 상반기부터는 USB가 내장된 제품이 나오기 시작하며서, 저렴하게 되었습니다.이런 흐름이,…
초기 MBL Interface는 여러 개의 채널(Multi-channel)을 갖고, 채널별로 기능이 정해졌으면, 인터페이스의 회로가 복잡하여, 비싼 시기였습니다.이런 복잡한 회로는 통신 방식(대부분이 RS232를 사용함)때문입니다.1990년 상반기부터는 USB가 내장된 제품이 나오기 시작하며서, 저렴하게 되었습니다.이런 흐름이,…
2025년부터 RAG에 관한 글만 올리는 이유는 Data-logger나 IoT장비의 최종에서는 인간이 판단하거나, 인간이 설정해 놓은 기능이 수행되게 됩니다.대표적으로 NodeRED, Home-Assistan와 같은 툴을 사용합니다.이런 툴의 한계는 요구자의 요구에 맞추어진 조회 시스템을 통해서만…
MBL 실험 중 중력가속도를 구하는 실험이 있습니다.실험에 사용하는 센서를 세가지로 – 초음파 운동센서 – 포토게이트센서 – 가속도센서를 사용합니다.여기서는 가속도 센서(센서를 입증하는 실험이고, 난이도가 높음)를 제외하고 설명하겠습니다. 막대를 이용한 가속도 실험…